•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 방안

    타겟층 확보 →

    2030청년 대상 마케팅 홍보 인스타그램을 통한 해시태그 이벤트

    고객요구사항 : 다양한 행사 정보?를?자세하고 빠르게 제공받음

  • 실현가능성

    • 매출창출 구조

      지자체와 협력 → 지역 축제 홍보 → 자금 확보 프로모션란 광고 게시

    서비스 구현 및 실행 (운영) → 확보한 네이버 크레딧을 통해 초기 운영 → 이후 프로모션을 활용해 수익금 창출 (다른 방법 더 없을까?? 운영초기에 할 만한)


  • 사업화 또는 활용방안
    • 서비스의 시장성·사업화·상용화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작성
      • 여행/관광 시장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음 (자료로 제시)여행을 떠나요! 여행/숙박 TOP5 APP 이용행태 분석 (koreanclick.com)

        <aside> 💡

        엔데믹화 되면서 여행/숙박 어플 업계는 더 큰 호황을 맞고있다. 국내 사업자의 경우 야놀자는 2022년 8월 기준 앱 사용자 수가 502만으로 45%로 성장하였고, 여기어때도 358만으로 50% 성장하였다. (그래프)

        또한, 여행/숙박 앱들은 앱의 중복 이용률이 최소 46%에서 최대 71%까지 매우 높다. 이를 생각해봤을 때 어디가도 이러한 효과를 빌어 높은 이용률을 노려볼 수 있다. (중복이용률 그래프)

        </aside>

      • 매년 각 지자체들이 지역행사 홍보비로 사용되는 금액이 얼마인지 조사하고 넣기

      •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은 사용자의 진입장벽이 매우 낮은,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임으로 (사용자 수 제시) 많은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.

    • 서비스에 대한 구현, 실행, 매출 창출 구조 등 실현 가능성
      • 먼저 구현 및 실행은 앱 운영 초창기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크레딧을 확보해 놓은 게 (100만원) 있기 때문에 이걸로 운용 + 시범적으로 5개의 지자체와 협약을 맺어 홍보비의 일정 부분만 받고 홍보해주는 방식으로 채우고 지자체와 해당 서비스가 모두 윈윈하는 방식으로 자금 조달.
      • 추후에는 추가로 다른 지자체들과 협약을 맺고, 해당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는 업체 등과 프로모션을 맺어 메인 페이지에 띄움으로써 광고비를 충당한다. + 구글 애드센스 등과 같은 타 광고업체를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.
  • 기대효과 (구체적으로 작성)